본문 바로가기
경제

[세금 시리즈② 3화] 배달, 유튜브, N잡으로 번 내 돈, 5월에 세금 폭탄 맞기 싫다면? (종소세 완벽 가이드)

by 새빛세상 2025. 7. 20.
반응형

AI이미지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눈과 귀! 세상은 요지경😃 입니다.

 

지난 2화에서는 연말정산 시 놓치기 쉬운 3대 공제 항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하지만 '나는 회사원이 아니라서 연말정산은 남의 얘기'라고 생각하는 분들, 바로 오늘 이 글에 집중하셔야 합니다.

 

바야흐로 N잡 전성시대! 프리랜서, 배달 라이더, 유튜버, 스마트스토어 사장님 등 월급 외 소득이 있는 분들의 진짜 세금 시즌은 바로 5월, '종합소득세(종소세)' 신고의 달입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 '귀찮아서' 미루다간 가산세 폭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오늘 종소세의 모든 것을 완벽하게 정복해봅시다!

 

1. "혹시 나도?" 종소세 신고 대상자 자가진단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아래에 하나라도 해당한다면 당신도 신고 대상자입니다.

  • 프리랜서: 디자이너, 개발자, 작가 등 (소득을 받을 때 3.3% 세금을 떼인 분)
  • 플랫폼 노동자: 배달 라이더, 대리운전 기사 등
  • N잡러: 직장을 다니면서 부업으로 추가 소득이 있는 분 (강의, 컨설팅, 원고료 등)
  • 개인사업자: 스마트스토어, 카페, 학원 등 개인사업체를 운영하는 분
  • 기타: 부동산 임대 소득, 금융 소득(연 2,000만 원 초과) 등이 있는 분

 

간단히 말해, 근로소득 외에 다른 소득이 있다면 5월에 그 소득을 합산하여 신고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신고 기간은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입니다.

 

2. 세금 계산의 핵심: '장부' 쓸까, '추정'할까?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바로 '장부기장''추계신고'입니다. 이 선택에 따라 내야 할 세금이 크게 달라지므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A. 추계신고: 쉽지만 불리할 수 있는 길

장부를 작성하지 않고, 국세청이 정해준 경비율에 따라 대략적인 경비를 인정받아 신고하는 방식입니다. 수입 금액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뉩니다.

  • 단순경비율: 신규 사업자거나 직전연도 수입이 일정 금액(업종별로 상이) 미만인 경우 적용됩니다. "이 업종은 보통 수입의 70%를 경비로 쓰더라"처럼 높은 경비율을 통으로 인정해줘서 계산이 매우 간편합니다.
  • 기준경비율: 단순경비율 대상이 아닌 경우 적용됩니다. 주요 경비(매입비, 임차료, 인건비)는 증빙서류가 있어야만 인정해주고, 나머지 기타 경비만 일부 비율로 인정해주는 방식이라 증빙이 없으면 세금 부담이 매우 커질 수 있습니다.

 

B. 장부기장: 번거롭지만 절세에 유리한 길

수입과 지출을 장부에 꼼꼼히 기록하여, 실제로 사용한 경비를 100% 인정받아 신고하는 방식입니다.

  • 간편장부: 대부분의 프리랜서, N잡러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가계부처럼 수입과 비용을 날짜순으로 기록하는 비교적 간단한 장부입니다. 내가 쓴 경비가 나라에서 정해준 경비율보다 많다면, 장부 작성이 무조건 유리합니다.
  • 복식부기: 일정 수입 금액 이상의 사업자는 의무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전문적인 회계 장부입니다.

 

3. 그래서 나의 최선의 선택은?

복잡하게 느껴지시나요? 이것 하나만 기억하세요.

"내가 실제로 쓴 경비가 단순경비율보다 많을 것 같다면, 무조건 '간편장부'를 작성해서 신고하는 것이 절세의 왕도다!"

 

예를 들어, 배달 라이더라면 유류비, 렌탈료, 통신비, 수리비 등이 모두 경비로 인정됩니다. 이런 실제 경비가 단순경비율로 인정받는 금액보다 크다면, 간편장부를 작성해야 세금을 한 푼이라도 아낄 수 있습니다. 심지어 간편장부 대상자가 장부를 작성해 신고하면 세액공제 혜택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종합소득세 신고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특히 N잡으로 소득을 창출하는 분들에게 5월은 '제2의 월급'을 만들 수도, '세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핵심은 '장부 작성'의 유불리를 따져보고, 평소에 업무와 관련된 '경비 증빙(영수증)'을 꼼꼼히 챙기는 습관에 있습니다.

 

다음 4화에서는 오늘 맛보기로 다룬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에 대해 더욱 깊이 파고들어, 나에게 유리한 추계신고 방법은 무엇인지 확실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지난 시리즈 다시보기]

반응형